- #5. DCM 설치과정DCM 장치는 인젝터 연료라인에 고주파 코일을 권선하고, 차량 배터리에서 전원을 연결한 뒤, 모든 접점에 방수·절연 처리를 시행합니다. 설치는 1시간 이내로 완료되며, 별도 ECU 개조, 엔진 구조변경 없이 간단하게 장착 가능합니다.
- #4. 자두 묻는 질문(FAQ)Q1. 장착하면 차량 성능이 떨어지지 않나요? A.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DCM은 연료를 미립화하여 연소 효율을 높이는 구조로, 출력 저하 없이 오히려 토크 반응성이 개선되는 사례가 많습니다.
- #17. 벤처기업인증디씨엠이테크(주)는 벤처기업 혁신성장유형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 #6. KCL 보일러 시험성적서KCL 보일러 연소시험 결과, DCM 장치 적용 시 일산화탄소(CO) 배출량이 약 50% 감소했습니다. 이는 연료 미립화로 연소 반응이 고르게 이루어져, 불완전연소가 줄어들었기 때문입니다. 고형 연료 또는 액체 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에서도 온실가스와 유해물질을 동시에 저감할 수 있다는 기술적 근거를 보여주는 결과입니다.
- #7. KOLAS(국제공인시험기관) 매연저감 인증KOLAS국제공인시험기관이자 환경부 지정 검사기관인 (주)그린환경종합센터에 스타렉스, 카니발 차종에 대해 DCM 설치전, 후 매연테스트(대기측정)를 "국립환경과학원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제2024-34호)"에 준하는 기준의 대기측정을 의뢰하여 받은 대기측정기록부 입니다.
- #9.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전파 안전 테스트DCM이 고주파를 이용하는 제품이기에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을줄로 생각이 됩니다. 파장 범위가 매우 짧을 뿐더러 현장 테스트에서도 이상이 없으며 더욱 정확한 실증을 위해 테스트한 결과자료 입니다.
- #16. 생산물 배상 책임보험 5억 가입당사는 고객의 안전과 신뢰를 최우선으로 생각합니다. DCM 제품의 품질에 대한 책임을 다하기 위하여, 국내 손해보험사와의 계약을 통해 생산물 배상책임보험(PL보험)에 가입하였습니다. 본 보험은 제품 사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우연한 사고나 손해에 대해 최대 5억 원 한도 내에서 보상이 가능합니다.
- #8. 자동차 · 차량용일반 승용차, 트럭, 버스 등 연료 연소 방식에 관계없이 설치 가능 디젤/휘발유 차량에서 모두 효과를 확인 LPG승용차는 효과를 확인하였고 트럭에서 시험 적용 중
- #10. 산업용 보일러 및 열처리 설비(버너)공장 내 보일러, 스팀발생기, 연소로 등 열효율 상승 유지비용 절감 대기오염물질 저감 산업 현장의 열손실을 줄이고, 불완전연소로 발생하는 매연을 최소화함, 특히 LNG·중유·경유 보일러에서 적용 시 10% 이상의 연료 절감 효과 검증됨
- #11. 농업 · 어업용 발전기, 펌프연료 효율 향상으로 장시간 운용 장비 고장 감소 이동식 장비에도 적용 용이 밀폐공간 매연 감소 어선이나 양식장에서의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매연과 연비 저하 문제 해소, DCM 장치는 고주파 방식으로 연료 입자를 세분화하여 더 완전한 연소를 유도하며, 엔진 보호 및 유지비 감소 효과를 동시에 제공
- #12. 발전소 · 에너지 설비 (B2G)디젤 발전기, 예비 전원 시스템, 발전소용 연료 시스템 등 한전(한국전력공사), 국방부 산하 군부대, 항만 및 공항 운영기관, 산업단지 내 집단에너지설비, 병원/통신사 백업전원에도 적용 가능
- #13. 선박 · 해양 엔진어선, 화물선, 여객선, 관공선, 예인선, 작업선, 유람선 등 디젤 연료 기반의 선박 엔진 전반에 적용 가능. 주요 적용 대상은 연근해 어선, 항만 운용선박, 연안 여객선, 국가 해양감시선, 민간 해양레저선박 등.
- #14. 국제해사기구(IMO) 환경규제 해답 DCMIMO 탄소규제에 따르면 2027년부터 연간 온실가스 배출 총톤수가 5,000톤 이상인 선박에 대해 강화된 온실가스 집약도 기준이 적용됩니다. 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는 선박은 초과 배출한 온실가스량에 비례해 비용을 지불해야 하며, 2027년부터는 초과 배출 1톤당 최소 100달러의 탄소세가 부과될 예정입니다. 이번 규제는 선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입니다.
- #3. 고주파기반 연료 미립화 원리DCM 장치는 인젝터 연료라인에 감긴 코일이 통과하는 연료에 고주파를 가해 코일 사이 구간에서 1~5μm 크기로 연료를 미립화합니다. 미세화된 연료는 공기와 고르게 혼합되어 실린더 내 완전연소를 유도하고, 매연·NOₓ·미세먼지 배출을 크게 저감합니다.
- #15. DPF와의 차이점현재 정부의 배출가스 저감 정책은 대부분 **후처리 장치인 DPF(Diesel Particulate Filter)**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습니다. 환경부 저감장치 인증, 지자체 보조금 지원, 차량 운행제한 예외 적용 등 모든 제도는 DPF 장착 여부를 기준으로 운행 가능성을 판단하고 있습니다